기부금 세액공제 연말정산 세금 환급 절세 종교단체 기부

요즘 종교 단체나 복지 기관 등에 기부하시는 분들 많으시죠? 근데 이러한 기부금이 세금 신고 시 공제 대상이 된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? 그래서 오늘은 좋은 일 하시고 세액 공제도 받으시라고 기부금 세액공제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공제 한도

기부를 하면 과연 얼마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요? 그건 바로 '어디에 기부를 하느냐'에 따라 달라집니다. 기부금별 공제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.
  • 정치 자금: 소득금액의 100%
  • 법정 기부금: 소득금액의 100%
  • 지정 기부금: 소득금액의 30%
  • 종교 단체: 소득금액의 10%
즉, 연봉 3,000만 원인 사람이 각 단체에 기부를 하는 경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.
  • 정치 자금: 3,000만 원까지
  • 법정 기부금: 3,000만 원까지
  • 지정 기부금: 900만 원까지
  • 종교 단체: 300만 원까지
법정 기부금과 지정 기부금의 차이가 궁금하실 텐데요. 법정 기부 단체는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 등으로 법으로 지정한 봉사 단체이고, 지정 기부 단체는 '아름다운가게'나 '굿월스토어' 등 공익성을 띠는 민간 봉사 단체입니다.

세액공제율

한도를 알았다면 공제율이 중요할 텐데요. 공제율은 기부금 액수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 기부금 액수가 1,000만 원을 넘는지를 보시면 됩니다.
  • 기부금 1,000만 원 이하인 경우: 전액 15%
  • 기부금 1,000만 원 초과인 경우: 150만 원 + (1,000만 원 초과 분 x 30%)
즉, 5,000만 원을 법정 기부금으로 기부한 경우 1,350만 원(150만 원 + 1,200만 원)을 세액공제받으실 수 있습니다. 다만, 2024년에만 한시적으로 3천만 원이 넘는 기부금에 대해 40%의 세액공제를 해주고 있습니다. 따라서 5,000만 원을 기부한 경우 2024년 세액공제는 1,550만 원(150만 원 + 600만 원 + 800만 원)을 받게 됩니다.

기부하는 단체가 어디인지에 따라 세액공제를 받는 금액 차이가 큽니다. 좋은 일 하신 만큼 세금도 아껴서 앞으로 더 많은 기부를 하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.